사고쳤어요
Express 구조와 Express application generator 본문
Express의 공식 문서에서 가이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Express application generator"를 찾을 수 있다.
https://expressjs.com/en/starter/generator.html
Express application generator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스켈레톤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고,
npx 커맨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고 한다.
npm install -g express-generator 명령을 통해 설치하고, express 명령을 사용해보자.
자동으로 폴더와 파일들이 만들어지고, 애플리케이션 스켈레톤이 맞춰진 것을 볼 수 있다.
먼저 bin 폴더 밑에 www라는 파일이 있다.
파일의 내용을 훑어보면 여러가지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var port = normalizePort(process.env.PORT || '3000');
app.set('port', port);
포트 번호를 세팅하기도 하고,
var server = http.createServer(app);
HTTP 서버를 만들며,
server.listen(port);
server.on('error', onError);
server.on('listening', onListening);
서버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접속에 성공한 경우 등의 여러가지를 처리하고 있다.
즉, 위 www 덕분에 우리는 편리하게 기본 설정만 진행해주어도 웹 서버를 열 수 있다.
다음으로 app.js를 살펴보자.
app.js에도 많은 내용이 담겨 있다.
app.set('views', path.join(__dirname, 'views'));
app.set('view engine', 'jade');
프로젝트에 대한 추가 세팅을 진행하고,
app.use(logger('dev'));
app.use(express.json());
app.use(express.urlencoded({ extended: false }));
app.use(cookieParser());
app.use(express.static(path.join(__dirname, 'public')));
미들웨어들과 연결을 진행하고,
module.exports = app;
설정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exports까지 진행한다.
다음은 rolutes 폴더의 index.js이다.
분기 처리를 진행하는 route에 맞는 역할의 코드가 담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터미널에서 npm start 명령어를 통해 실행을 해주면
잘 실행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렇게 express 명령을 통해 기본적인 스켈레톤을 잡아주기 때문에 아주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웹 풀스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유튜버 조회 서비스 - 새로운 유튜버 추가(POST) (0) | 2025.02.17 |
---|---|
Postman으로 GET, POST 테스트해보기 (0) | 2025.02.17 |
[Node.js] 유튜버 조회 서비스 - params에 맞는 json 전달하기 (0) | 2025.02.13 |
Node.js의 req.params 알아보기 (0) | 2025.02.13 |
JSON과 사용법 (1)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