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 (3)
사고쳤어요

변수는 위와 같이 0x1000이라는 메모리 주소에 저장된 값을 불러오기 위한 메모리 주소의 식별자이다.변수 덕분에 메모리 주소를 외울 필요 없이 편리하게 메모리로부터 값을 불러올 수 있다.포인터는 포인터 변수의 줄임말로 메모리의 주소값을 저장하고 있는 변수이다.이를 한 번 더 풀어서 설명하면, 메모리의 주소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식별자이다.메모리 주소 0x01에 저장된 값 65를 사용하기 위한 변수 a가 있을 때,메모리 주소 0x21에 저장된 값 0x01을 사용하기 위한 변수 pA가 포인터이다. 포인터 사용 방법C에서는 포인터 변수를 사용할 때 일반 변수와 구분하기 위해 변수명 앞에 * 기호를 붙인다.예를 들면 int *pA; char *pB; 와 같이 선언하면 된다. 선언을 했다..
연산자란 정적인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행동하게 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예를 들어 학교 학생들의 성적 데이터는 단순히 점수로써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다.총점, 평균, 분산, 표준편차 등으로 데이터화해야 그 의미가 더욱 커진다. 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는 사칙 연산을 기본으로 하는 연산자이다.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로 +, -, *, /, %가 존재한다.종류의미예시+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값을 더한다a = 7 + 3-왼쪽의 값에서 오른쪽의 값을 뺀다a = 7 - 3*왼쪽과 오른쪽의 값을 곱한다a = 7 * 3/왼쪽의 값을 오른쪽의 값으로 나눈다a = 7 / 3%왼쪽에 있는 값을 오른쪽의 값으로 나누어서 나머지를 반환한다a = 7 % 3 대입 연산자대입 연산자는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대입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어떤 값인지를 저장해놓고 불러와 사용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그리고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기억장치인 메모리를 활용한다.메모리에 데이터를 담아 기억을 해두고, 메모리의 각 장소마다 존재하는 주소값을 통해 기억해둔 데이터를 찾는다.그리고 이 주소값을 대신할 식별자를 지정하고 식별자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는데 그 식별자가 변수이다.즉,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해둔 메모리 주소를 쉽게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변수 예를 들어 7이라는 32비트 정수는 다음과 같이 메모리주소 0x1000부터 0x1003까지 4바이트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다.그런데 이 주소값을 기억하는 것보다는 식별자를 통해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이고, 그 식별자의 이름이 변수이다.int a = 7;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