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쳤어요
연산자 본문
연산자란 정적인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행동하게 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교 학생들의 성적 데이터는 단순히 점수로써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총점, 평균, 분산, 표준편차 등으로 데이터화해야 그 의미가 더욱 커진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사칙 연산을 기본으로 하는 연산자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로 +, -, *, /, %가 존재한다.
| 종류 | 의미 | 예시 |
| + |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값을 더한다 | a = 7 + 3 |
| - | 왼쪽의 값에서 오른쪽의 값을 뺀다 | a = 7 - 3 |
| * | 왼쪽과 오른쪽의 값을 곱한다 | a = 7 * 3 |
| / | 왼쪽의 값을 오른쪽의 값으로 나눈다 | a = 7 / 3 |
| % | 왼쪽에 있는 값을 오른쪽의 값으로 나누어서 나머지를 반환한다 | a = 7 % 3 |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는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대입하는 역할을 한다.
| 종류 | 의미 | 예시 |
| = | 연산자 기준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대입한다 | a = b |
| += | 왼쪽의 값을 오른쪽 값과 더해서 다시 왼쪽에 대입한다 | a += b (a = a + b) |
| -= | 왼쪽의 값에서 오른쪽 값을 빼고 다시 왼쪽에 대입한다 | a -= b (a = a - b) |
| *= | 왼쪽의 값에서 오른쪽 값을 곱하고 다시 왼쪽에 대입한다 | a *= b (a = a * b) |
| /= | 왼쪽의 값에서 오른쪽 값을 나누고 다시 왼쪽에 대입한다 | a /= b (a = a / b) |
| %= | 왼쪽의 값에서 오른쪽 값을 나누어 남은 나머지를 다시 왼쪽에 대입한다 | a %= b (a = a % b) |
증감 연산자
| 종류 | 의미 | 예시 |
| ++a | a의 값을 1 증가시킨 후 연산을 진행한다 | ++a |
| a++ | 연산을 진행한 후 a의 값을 1 증가시킨다 | a++ |
| --a | a의 값을 1 감소시킨 후 연산을 진행한다 | --a |
| a-- | 연산을 진행한 후 a의 값을 1 감소시킨다 | a-- |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로 관계를 따지는 연산자이다.
| 종류 | 의미 | 예시 |
| == | 두 값의 값이 같은지를 반환한다 | a == b |
| != | 두 값의 값이 다른지를 반환한다 | a != b |
| >, < | 연산자를 기준으로 오른쪽 값이 큰지, 작은지를 반환한다 | a > b, a < b |
| >=, <= | 연산자를 기준으로 오른쪽 값이 크거나 같은지, 작거나 같은지를 반환한다 | a >= b, a <= b |
논리 연산자
| 종류 | 의미 | 예시 |
| ! | 피연산자의 결과를 반대로 반환한다. | !a |
| && | 피연산자가 모두 참이어야 참을 반환한다. | a && b |
| || |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참이어야 참을 반환한다. | a || b |